728x90
반응형
메모리 할당(Memory allcotation)
*C언어에 자세한 예시가 있다.
*파이썬은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메모리 관리를 해준다.
-정적 할당
프로그램을 컴파일시 메모리가 할당된다.
스택을 구현할때 정적 할당을 활용함
메모리를 재사용 할 수 없다.
static int a=10;
-파이썬 스택
스택의 기본구조는 LIFO(Last-In-First-Out) 구조를 가지고 있다.
파이썬의 list()로 스택을 구현해보겠다.
파이썬은 그냥 list를 스택으로 사용해도 된다.
주요 Method
-push
-pop 마지막 원소 빼서 출력하기(스택에서는 데이터가 비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실행된다.)
-top 마지막 원소 리턴시키기
-isEmpty
파이썬 구현
-동적 할당
프로그램의 런타임 즉 동작할때 메모리가 할당된다.
힙을 구현할때 동적 할당을 활용함
메모리를 재사용 가능하다.
int *p;
p=new int;
파이썬 힙큐
728x90
반응형
'알고리즘(Algorithm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978번: 소수찾기 (0) | 2022.04.30 |
---|---|
백준 4949번 : 균형잡힌 세상 [Python] (0) | 2022.04.18 |
백준 1110번 (파이썬) (0) | 2022.04.06 |
자료구조 - 큐 (0) | 2022.03.28 |
알고리즘 (0) | 2022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