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

네트워크

Hun-bot 2021. 12. 14. 18:14
728x90
반응형

-명령어-

ifconfig ens32(33)

ip addr (Client의 IP주소 확인)

ip route (게이트웨이 정보)

systemd-resolve --status ens32(33) (DNS 서버 정보)

ifdown --all (네트워크 장치 정지)

ifup --all(네트워크 장치 가동)

netstat -rn (게이트 웨이 확인)

 

-多用명령어-

nm-connection-editor (Network Manager)

리눅스 GUI 버전에서 사용

systemctl start/stop/restart/status networking

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한 후에 시스템에 적용시켜주는 명령어

ifconfig

nslookup

DNS 서버의 작동을 테스트하는 명령어

ping -c 3 www.naver.com  

네트워크상에서 응답하는지 핑을 보내서 확인한다. ( 외부컴퓨터와 패킷송수신이되는지)

 

  • TCP/IP 

가장 널리 사용되는 "프로토콜" => 네트워크상에서의 컴퓨터 간 의사소통에 관한 약속

  •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

kimchi.data.co.kr 에서 kimchi는 호스트 data는 도메인 co는 회사 kr은 한국 => FQDN(Fully Qualified Domain Name)

  • IP주소

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컴퓨터를 유일하게 구분하는 번호 체계. OOO.OOO.OOO.OOO 4바이트(0~225)

모든 컴퓨터의 localhost는 127.0.0.1이다.

  • 네트워크 주소

컴퓨터 4대가 192.168.111.(123/136/175/195) 로 뒷자리만 다르게 쓴다 => 이 4대의 컴퓨터는 같은 네트워크에 있고 

"서브넷 마스크"는 공통으로 "C 클래스"(255.255.255.0) 를 사용한다.

 

서브넷의 개념

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.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란 하나의 라우터를 거쳐가는 여러개의 호스트들이 연결된 브로드캐스트 영역이다. 즉, 어떤 네트워크에서 한 노드가 브로드캐스트를 했을 때 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가 신호를 받았다면 그 네트워크는 하나의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. 호스트란 그냥 각각의 노드(PC, 스마트폰, 태블릿 등)들이다. 

출처 -https://namu.wiki/w/%EC%84%9C%EB%B8%8C%EB%84%B7%20%EB%A7%88%EC%8A%A4%ED%81%AC-

 

서브넷 마스크 =>아파트를 생각해보자 같은 아파트이지만 101호의 주민과 202호의 주민이 택배송장에 다르게 표시해야지 구분이 되지 않는가? 서브넷 마스크도 네트워크 구역을 구분되는데 사용된다.

 

서브넷 마스크의 클래스 => '255.0.0.0(클래스 A)'  '255.255.0.0(클래스 B)'  '255.255.255.0(클래스 C)'

 

  • 브로드캐스트 주소

Broad(폭 넓게) cast(던지다)

내부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가 수신하는 주소.

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호스트들이 듣게되는 주소.

예시 ) 마트에서 '김춘추라는 아이를 찾고 있어요' 라고 방송을 했을 때 그 아이의 부모님은 반응을 해서 가겠지만 자신과 관련이 없으면 무시할 것이다.

  • 게이트웨이

내부 네트워크를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장비

예시) 아파트 101동 101호에서 102동 201호로 가려고 할 때 밖에나가서 102동입구를 거쳐서 가야한다.

그 입구가 게이트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(육로국경심사대)

 

게이트웨이에는 내부로 향하는 문(네트워크 카드)과 외부로 향하는 문(네트워크 카드) 즉 네트워크 카드가 2개 필요하다.

  • 넷마스크와 클래스

위에 서브넷 마스크의 클래스를 보면 A,B,C가 있는데 이 넷 마스크로 네트워크의 규모가 결정된다.

C클래스면 192.168.111.0~192.168.111.255 까지의 IP주소 256개를 사용할 수 있다. 하지만 그중에서

네트워크 주소: 192.168.111.0 브로드캐스트 주소: 192.168.111.255 게이트웨이 주소: 192.168.111.2 제외 하면

총 253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.

  • DNS 서버

DNS(Domain Name System server) 

구글의 DNS서버는 8.8.8.8이다. 우리가 주소창에 google.com을 치면 컴퓨터가 인식할수 있도록 8.8.8.8이라는 IP주소로 바꿔주는게 DNS 서버라고 보면된다.

728x90
반응형